보건 통계

 1. 공중보건에서의 보건통계 1) 지역사회 또는 국가의 보건수준과 보건상태를 나타낸다.2)보건사업의 필요성을 결정해 주는 3)보건입법을 촉진하고 보건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촉구할 수 있다.4) 보건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보건사업의 절차, 분류 등의 기술 발전에 도움 5) 보건사업 행동활동의 지침이 될 가능성이 있다.6) 보건사업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자료가 되고 보건사업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.

2. 대표치 1) 정의: 하나의 객관적 값으로서 측정치를 대표하는 값 2) 종류가) 평균치(mean) 산술 평균(X): 측정치의 합을 총개수로 나눈 것 기하 평균(G): 측정치 n 개급의 n 제곱근을 구하는 것 조화 평균(H): 관측치의 역수에 대한 산술 평균 항상 X_G_H 관계가 성립된다.중앙값 Mean, 위치적 대표값 : 크기 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계급의 중앙에 오는 위치적 대표값이다. 최빈치(Mode, 양적 대표치): 도수 분포에서 그 변량의 분포 중 최다 빈도를 나타내는 측정치가 가장 많은 군

3. 살포 그림1) 정의: 한 변수의 독점치 분포 상태(분산정도) 종류가) 표준편차 : 편차의 제곱 평균 (분산) 평균 편차: 편차 절대값의 평균이다) 분산: 통계치의 편차 정도이기 때문에) 범위 : 변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사이) 변이계수: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

4. 보건통계 공식) 인구증가율 : 조출산율 - 조사사망률 (인구 이동이 무시된 경우) 2) 조기 출산율 = 연간 출생아 수 연앙인구 *1003)일반출산율 = 연간 출생아 수 1549세의 가임여성 수 * 10004) 보통사망률 =연간 사망 수 연앙인구 *10005)영아사망률 =생후 1년 사산 + 생후 7일 이내 신생아 사망 수 연간 출생아 수 + 임신 29주차부터의 사산 수 * 100010) 사산율 : 연간 사망수(사산수) 연간 출산수(사산수+출산수)*100011) 비례 사망수 * 총 사망수 * 10012) 발생률 = 기간 내 신환자 발생 수 기간내 연안 인구 *100013)시점유병률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[커플 운동화 신발 추천] 아디다스 니짜 트레포일 FZ0006

(갤럭시 노트4) 프리모셀 배터리 사용후기.

[파주] 자동차 앞유리 돌빵 복원